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의 금리인상 , 단기국채 ETF 인기 폭발

by 착한콜리 2023. 3. 4.
728x90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 장기화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자 초단기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 투자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형 ETF 최대 순유입

 

2일 하나증권에 따르면 2월 셋째 주(20~24일) 미국 증시에 상장된 채권형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순 유입된 종목은 만기 1년 미만 초단기 국채에 투자하는 ‘아이쉐어즈 단기재무부채권(SHV) ETF’였다. 총 24억 2330만 달러(약 3조 1803억 원)가 몰려 2020년 3월 이후 최대 순 유입을 기록했다. 뒤를 이은 투자 상품도 1~3개월물 미 국채에 투자하는 ‘SPDR 블룸버그 1-3월 티빌 ETF(BIL)’였다.

 

국채를 담은 펀드 인기


미국 초단기 국채를 담은 펀드들은 국내에서도 인기다. 만기 1년 미만 미 국채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ETF’의 순자산은 지난달 28일 기준 5007억 원으로 2월 초보다 361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익률은 7.92%로 코스피 수익률(-0.5%)을 압도했다.
미 단기 국채에 자금이 몰리는 것은 연준이 지난달에도 긴축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과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을 오가며 금리 인상을 단행했지만 좀처럼 물가가 잡히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인 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가격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4.7%나 올랐다. 시장 전망치를 웃돈 것은 물론 상승 폭 자체도 지난해 12월(4.6%)보다 컸다.
만기 1년 미만의 초단기 국채는 장기 국채와 비교해 채권 평가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금리 급등기에 특히 몸값이 뛴다. 1일 수익률 또한 16년 만에 최고치인 5.14%(6개월물 기준)를 기록해 매력적이다

 

연준 인사들 매파적 발언 쏟아내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긴축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고, 한국도 기준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 인사들이 최근 잇달아 매파적 발언을 쏟아내 단기 국채 수요는 쉽사리 식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1일 FOMC 정례회의를 겨냥해 “기준금리 인상 폭은 25bp(1bp는 0.01%포인트)와 50bp 양쪽 모두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했고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기준금리를 5.00∼5.25%로 올리고 내년까지 한참 동안 유지해야 한다”고 밝혀 금리 인상 둔화를 점쳐왔던 시장의 기대를 꺾었다.

 



댓글